首尔大权宁珉教授《韩国现代文学史》笔记之:20世纪初期韩国诗歌的近代变革
首尔大权宁珉教授的《韩国现代文学史》(民音社出版)可以说是目前最新且最具权威的韩国现代文学史著作之一,该系列为整理者在准备综合考试时的笔记,为方便记忆将书中重点文句进行了简单粗略的整理总结。分享到这里的目的一是自留备份,二是便于其他准备综合考试的学友们对文学史有简单大致的了解。
首尔大权宁珉教授的《韩国现代文学史》(民音社出版)可以说是目前最新且最具权威的韩国现代文学史著作之一,该系列为整理者在准备综合考试时的笔记,为方便记忆将书中重点文句进行了简单粗略的整理总结。分享到这里的目的一是自留备份,二是便于其他准备综合考试的学友们对文学史有简单大致的了解,三则是为对韩国文学爱好者(或意图攻读相关学位的学友们)提供一个方便快捷了解文学史大致脉络的渠道。
由于我只整理部分(对我而言)难懂部分的笔记,因此很遗憾并未对全书进行充分整理。具体感兴趣的朋友可直接购买权宁珉教授的《韩国现代文学史》(上、下)(한국현대문학사 1, 2; 민음사)进行学习理解。
전통시가의 근대적 변혁
1. (1) 시가문학의 형태적 변화
a) 개화계몽 시대의 시문학은 전통적인 국문 시가 양식의 근대적 변혁과정과 새로운 시 형식의 모색 과정을 통해 그 특성이 드러난다.
i. 1.한문학의 퇴조와 함께 한시의 전통이 쇠퇴하고 있다.
1. 조선 말기의 이건창, 김택영, 황현, 강위 등과 같은 한학자들은 한시의 전통을 이어 가기 위해 노력하였고, 장지연과 같은 계몽운동가도 많은 한시를 남겼다.
2. 그러나 국어국문운동을 통한 대중적인 국문 보급과 신교육을 통한 국문 교육이 확대되면서 한문의 사회 문화적 기능이 축소되고 한문으로 이루어지던 문필 활동도 위축되기에 이른다.
ii. 2.전통시가의 변혁과정:
1. 조선시대: 창곡과 결부되어 대중적으로 확대된 것이며, 가사의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가창되었던 양식이다. 개화계몽시대:시가문학은 창가의 형식 가운데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는 노래로 가창된 것이 아니다. 시와 음악이 분리되고 있기 때문에 가사의 형식이든 시조의 형식이든 개화계몽 시대의 시가 양식은 모두 글로 읽거나 읊조리는 방식으로 존재한다.
2. 창곡으로서의 음악적인 형식이 분리되면, 창곡이 요구했던 형태적 고정성을 탈피하게 된다.
3. 새로운 시 형태: 국문 글쓰기를 수용하면서 전통시가의 형식적인 고정성을 파괴하고 개방적인 형식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여 준다.
a)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계층이 확돼된 것이다. (문체의 변혁과 인쇄 매체의 보급)
b) 시가 개혁론:
i. <대한매일신보>에 발표된 <천희당시화(天喜堂詩話)>: 전통적 한문 시화(詩話)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시의 본질과 그 기능, 시의 현황과 문제점, 시 개혁의 방향, 그리고 시인의 위치와 사명 등을 서술하고 있다.
1. 시의 본질 개념: 시란 국민 언어의 정화로서 인간의 여러 가지 감정 상태를 결합해 놓은 글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2. 시가의 개혁 방안:
a) 국문으로 시를 써야 한다는 주장이다.
b) 시의 내용에 국민 사상을 진작시킬 수 있는 정신을 담아야 한다는 점이다.
c) 시의 새로운 형식을 발견해야 한다는 점이다.
3. 평가: 한시의 존재 가치를 부정하고 국시의 개념을 국어국문에 의해 이루어진 시 형태로 규정함으로써 국문 문학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는 점은 주목되는 특징이다.
c) 개화시가
i. 개화시가는 일반 민중들의 생활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전통적인 시가 양식의 형태를 빌려 민족의 독립에 대한 열망과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적인 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ii. 이러한 형태적 자유로움에 대한 모색이 자유시를 지향하는 작은 발단이 되었기 때문이다.
2. (2) 가사의 분화와 확대
a) 가사 양식의 변화
i. 원인: 형식의 개방성
1. 조선 시대의 가사는 3·4조 또는 4·4조의 단순한 반복적 율격에 의해 그 형태를 유지하며 내용에 따라 얼마든지 그 길이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일정한 음절수를 형식에 맞취 반복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리듬의 효과를 중시한다.)
2. 조선 초기의 가사는 대개 서정적인 노래로 불린 것들이다.
3. 그러나 조선 후기 가사는 서사적인 요건이 가미된다.
a) 조선 후기에 많이 등장한 기행가사는 여행의 과정을 드러내는 서사적인 요소가 내용의 골격을 이룬다.
b) 규방에 널리 전파된 내방가사는 서정적인 것을 바탕으로 감계와 교훈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삶의 과정을 서사적으로 전개하기도 한다.
ii. 개화계몽 시대에 가사의 다양한 주제와 내용:
1. 내용: 의병가사, 동학가사, 개화가사
a) 동학가사: 동학의 이념을 구현하고자 하는 종교적 성격이 강하며 주로 농민층의 동학교도들이 널리 암송했던 것이다.
b) 의병가사: 의병 활동에 참여했던 보수적인 지식층의 소산이다.
c) 개화가사:진보적인 지식층에 의해 신문, 잡지에 발표됨으로써 가장 폭넓은 독자층을 가지고 있었던 가사 형식이다.
iii. 전통적인 율격을 고수하면서도 주제와 내용의 효과적인 전개를 위해 하나의 작품을 몇 개의 단락으로 구획하는 분장 형태를 취하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분장된 각 장의 말미에 동일한 시구를 후렴 형태로 반복하여 형태적인 분장 의식을 분명히 드러내면서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iv. 4·4조의 율격 ==> 새로운 7·5조 유형이 등장한다. (새로운 율격 형태의 가사를 흔히 창가라고 지칭한다.)
b) 동학가사의 의병가사
i. 동학가사
1. 1860년 (최제우 득도했다고 주장하고 주장함) ~ 1863년 (사형당함)== 9편의 가사
2. <용담가>,<안심가>,<교훈가>,<도수가>,<몽중노소문답가>,<검결>,<권학가>,<흥비가>,<도덕가>
3. 내용: 점차 세력을 확대하고 있는 서양의 세력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 외세의 침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탐욕에만 관심을 보이는 무능력한 집권 세력을 비판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동양의 정신과 인본주의와 평등사상을 내세운다.
4. 형식적인 특성: 개방적인 율문 형식 (구송적(口頌的) 기능성이 중시된다) 그리고 동학가사는 형식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개방적으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ii. 의병가사
1. 의병 활동의 내역을 담고 있는 것이다.
2. 신태식의 <창의가(倡義歌)>
a) 조선 왕조의 위업을 기리고 주자학적인 전통과 질서를 고수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위정척사 사상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내용 속에는 당시 민중들이 지니고 있던 항일 사상과 구국 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c) 개화가사
i. 개화가사는 개화계몽 시대의 신문과 잡지에 발표된 수많은 가사 형식을 통칭하는 말이다.
ii. <독립신문>에 게재왼 다양한 내용의 애국가 또는 독립가의 등장에서부터 그 장르적인 특성을 인정받게 된다.
iii. <대한매일신보>는 잡보란에 율문 형식의 개화가사를 수록하고 있다.
1. 이 신문에서는 1908년부터 1909년 사이에 '사회등(社會燈)'이라는 고정난에 개화가사를 싣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사회등 가사'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2. <일진회(一進會)야>, <권고(勸告) 귀족(貴族)>, <권고(勸告) 현내각(現內閣)>, <부세(浮世) 원한(怨恨)>, <구악종자(九惡種子)>
iv. <독>과 <대> 구별:
1. <독>은 자주독립의 기원이나 문명개화의 이상을 노래한다.
2. <대>는 구체적인 현실 정치와 사회 문제를 소재로 하는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a) 국권의 회복이라는 구국의 의지를 구현한 것이다.
b) 일본이라는 침략 세력과 이에 동조하는 친일적 지배층에 대한 비판과 풍자이다.
d) 창가의 등장
i. 창가라는 명칭은 원래 서양식 악곡에 맞춰 가창되었던 노래를 지칭한다. 새로 설립된 기독교 계통의 학교에서 불린 찬송가와 함께 등장한 신식 노래가 창가이다.
ii. 창가는 문학의 영역에서보다는 음악의 영역에서 서양 음악의 도입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가 된다.
iii. 최남선의 <경부철도노래>, <세계일주가>
1. 율격적 패턴: 3음보격의 4·3·5조 또는 7·5조로 나타난다.
2. 형태적인 면: 길이도 제한이 없이 개방적이다.
3. (3) 시조의 변화
a) 개화시조의 등장
i. 개화시조는 주로 신문과 잡지 등에 수록
1. 1908년11월27일부터 <대한매일신보>에 신설된 <사조>란을 통해 발표되었던 약 350여 편의 시조가 대표적이다.
2. <국민신보>(1906), <대한민보>(1909), <대한유학생회보>(1907), <소년>(1908), <청춘>(1914) 등의 잡지에도 시조가 실려 있다.
3. 익명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시조 작가의 등장 여부를 고려할 아무런 근거가 없다.
ii. 시조가 개화기에 들어서면서 창곡과 분리되어 그 전통적인 존재 방식이었던 음악과의 공존 관계를 벗어나게 되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변화임에 틀림없다.
iii. 개화시조의 중요한 특징: 각각의 작품마다 제목을 붙였다는 점이다.
1. 작품의 주제 내용을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시켜 암시하는 제목이 많다.
iv. 개화시조는 시조 자체가 지니고 있는 전아한 서정적 기품보다는 주체적인 민족의식에 근거하여 현실 상황을 철저히 인식 비판하고자 하는 행동적 의지를 담고 있다.
v. 그러나 개화시조는 조선 시대 시조의 우의적 변형 또는 패러디화의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그 장르적 존재 의미가 지속될 수 없었던 것이다.
b) 시조의 연작 실험
i. 최남선의 창작 실험: 시조가 새로운 시적 형식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함
1. 최님선은 전통적인 시조가 지켜 온 3장 분장의 형태적인 정형성을 지키면서 평시조라는 단형시조의 특성보다는 연작 형태인 연시조를 널리 창작하고 있다. 이것은 단형시조가 추구해 온 시적 주제의 압축과 긴장보다는 시적 의미의 확대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작시조가 반복적인 시적 율격의 실현에도 형태적으로 더욱 용이했던 것을 알 수 있다.
ii. 연작시조: 단형의 평시조를 중첩시켜 시적 의미를 확대시켜 놓는 특징을 지닌다.
iii. 개화시조의 연작성은 현대 시조의 형식적인 특성으로 자리 잡은 가장 중요한 형태적인 요소이다.
4. (4) 신시의 형식적 모색
a) 새로운 시 형태의 등장
i. 개화가사/개화시조: 고정적인 형식이 파괴되고 있는 점이다.
1. 가사: 분장의 방식이 일반화된다.
2. 시조: 연작의 형식을 통해 오히려 그 완결된 형식을 개방적으로 확대한다.
3. 44조의 규칙적인 율격 ==> 435조 또는 74조의 새로운 3음보격의 율격이 나타난다.
4. 이같은 작은 변화가 시적 형식을 유기적인 형태로 이끌어 간 것이 바로 새로운 시 형태로서의 신시 또는 신체시라고 할 수 있다.
ii. 최남선의 개인적인 실험: (신시)
1. 형태적인 면에서: 개화가사의 형식적 개방성과 개화시조의 형식적 완결성을 결합한 새로운 절충적인 형태에 해당한다.
2. 이 같은 신시의 형태적 모색이 결국 자유시형을 지향하는 것임을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iii. 개화계몽 시대의 시가 양식 가운데 장르적인 실체로서의 존재를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은 개화가사와 개화시조뿐이다.
1. 창가라는 것은 가사의 율격적인 변형에 불과하며, 신시 또는 신체시는 자유시를 지향하는 형식적인 실험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러므로 창가와 신체시는 일시적인 문단적 현상일 뿐 하나의 문학사적인 장르의 성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b) 최남선과 시적 형식의 실험
i. 최남선의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에서부터 <꽃두고>와 같은 작품을 보면 파격적인 율조와 산문화된 자요로운 형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ii. 시적 언어의 문제이다.
1. 개화가사나 시조가 한자어를 많이 동원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해에게서 소년에게>와 같은 새로운 작품에는 일상어의 시적 활용이 눈에 띄게 드러나고 있다.
2. 의성어, 의태어의 대담한 구사
3. 구어체를 활용함으로써 경험적 구체성을 실감 나게 표출하고 있는 것도 특징적인 면이다.
iii. 그러나 새로운 시적 형식의 실험을 시도하면서도 여전히 당대의 시대정신을 바탕으로 시를 통한 계몽 의식의 구현에 힘썼던 것이다.
iv. 최남선의 작품들이 부여 주는 시정신의 결여는 근대시의 성립 과정에서 드러나는 과도기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豆友150021332 赞了这篇日记 2021-11-21 11:52:02